오늘은 매독 원인, 증상, 치료, 매독 잠복기, 매독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독이란?
매독이란 성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을 뜻합니다. 매독에 감염되었을 때 조기 진료를 받으면 체내 매독균을
모두 없앨 수 있지만, 치료가 충분하지 않다면 잠복 매독으로도 남을 수 있습니다.
매독 잠복기
매독균에 감염되면 10~90일 정도의 잠복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는 21일 정도 잠복기를 가지며 이후에는 1기
매독이 발생합니다. 이후 1~6개월 후에는 2기 매독 증상이 나타나며 이후에는 잠복 매독이 시작되며 1~2년이 지난 후에는
잠복 감염으로 진행되며 3기 매독 증상이 나타납니다. 환자의 10%에서는 심혈관계 합병증, 신경 매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독 원인
원인균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을 원인으로 주로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됩니다. 또 임신한 여성으로부터 태아에게 직접 전파될
수 있으므로 매독균의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접촉
주로 성접촉으로 인해 매독의 원인 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이 전염되어 감염됩니다. 또 매독균으로 인해 생성된
피부궤양에 직접 접촉했을 때 매독균에 감염되며, 공용화장실, 수영장, 욕조, 식기 등의 물건을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매독 증상
매독 증상 1기
매독 (피부궤양) 매독균이 성기를 통하여 감염되면 성기 주변으로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궤양이 발생합니다.
궤양은 단단하고 둥글며 크기가 작습니다. 이를 1기 매독이라고 부릅니다. 1기 매독의 경우 대부분 증상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2기 매독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2기 매독(피부발진)
2기 매독으로는 피부의 발진과 점막의 병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전신에 걸쳐 발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손바닥,
발바닥에 피부 발진이 나타납니다. 이 외에도 발열, 인후통, 두통, 근육통,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잠복 매독 (매독균)
잠복 매독은 매독 1기, 매독 2기의 증상이 사라진 후에 시작되며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에는 체내에 매독균이 남아 있어
수년까지 잠복할 수 있습니다.
3기 매독(합병증)
3기 매독, 후발 매독 증상으로는 내부 장기의 손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눈, 심장, 간, 뼈 등의 다양한 장기에 매독균이
침범하여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 매독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는 신경 매독의 경우에는 증상이 없거나, 뇌막 자극 증상, 뇌혈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매독 치료
매독 치료 매독의 치료는 매독의 단계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집니다.
매독 1기, 2기, 초기 잠복기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음으로 써 매독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후기 잠복
매독의 경우에는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여 3주 동안 치료를 시행합니다.
신경 매독
신경 매독인 경우에는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여 2주간 치료를 시행합니다.
매독 예방법
접촉 회피
쉽게 알기는 어렵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매독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입니다.
낯선 사람과의 잠자리를 조심해야 합니다.
콘돔
매독 궤양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관계 시 라텍스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전염의 확률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티지 오메가3 효능과 부작용 (1) | 2023.09.18 |
---|---|
가지 효능, 부작용, 가지 칼로리 (1) | 2023.09.18 |
골드키위 효능 부작용, 골드키위 가격, 칼로리, 골드키위 후숙 (1) | 2023.09.17 |
관절염에 좋은 음식, 관절 음식, 관절염 원인은? (1) | 2023.09.17 |
아오리사과 효능과 부작용, 아오리사과 칼로리 보관법 제철 (1)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