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황달 원인, 증상, 치료, 신생아 황달에 대해 알아봅시다.
황달이란?
황달이란 빌리루빈이라고 불리는 황록색 담즙색소가 신체로 과도하게 퍼지면서 피부, 눈 흰 자가 노랗게 변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빌리루빈은 헤모글로빈과 같은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담즙색소인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쌓여 황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상태로는 간염, 췌장암, 담도암, 담낭암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황달 증상 시에는 가볍게 여기지 마시고 병원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눈의 흰 자가 유독 노랗거나, 피부가 평소보다 누렇게 되는지 확인하며, 피부를 눌러 보면 황달기가 확연하게
나타납니다. 또 소변의 색깔이 변하고 대변 색이 회색을 띤다면 즉시 병원에 내원 하시길 바랍니다.
황달 원인
간담췌 기능 저하
황달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간담췌 기능의 미성숙 또는 저하로 인해 빌리루빈 배출 능력이 떨어져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 과다 생성
황달의 주된 원인이 되는 빌리루빈이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황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염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B, C형에 의해 간염이 발생하여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달 증상
소변 색
황달이 나타나면 제일 먼저 소변 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혈액으로 나오는 빌리루빈이 소변으로 배설되어 소변 색깔이
바뀌게 됩니다. 비타민과 음식 섭취로도 소변 색깔이 바뀔 수 있으니 다른 증상들과 함께 유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려움증
황달 증상으로 피부에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담즙으로 배설되어야 하는 화학물질이 피부 신경말단을 자극하여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 수치)
특히 신생아에게 황달 증상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신생아는 간의 기능이 아직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여 빌리루빈을
배출해 내지 못하고 축적되기 때문에 신생아 황달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의 신생아 황달은 자연치유되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 및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5mg/dL 이상일 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생후 2~3일째 나타나며 7일 이내 사라집니다.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병적 황달의 경우 빠른 시일 내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황달 치료
황달 자체는 질병이 아니므로 황달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합니다. 우선 어떤 이유로 황달이 발생하는지 혈액검사와
진찰을 통해 확인 한 후 적절하게 치료받아야 합니다.
약물치료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황달이 발생한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간이식
암, 담석, 담도 폐색 등의 황달이 원인이 되는 경우에는 수술로 종양, 돌을 제거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암 환자에
있어서는 화학요법을 부가적으로 시행하기도 합니다.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간 이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담관염과 같은 염증에 의한 황달이 발생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합니다.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의 경우 대부분 자연치유되지만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약물 투여, 수혈, 광선요법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풋마늘 효능과 부작용은? (1) | 2023.09.16 |
---|---|
시금치 효능과 부작용, 시금치 영양성분, 칼로리 (0) | 2023.09.16 |
호당원 가격, 호당원 성분 효능, 호당원 구매 (1) | 2023.09.15 |
체리 효능 부작용, 체리 칼로리 (0) | 2023.09.15 |
엉겅퀴 효능 부작용, 엉겅퀴 먹는 법, 엉겅퀴 효소, 뿌리 (0) | 202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