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이석증 자가치료 이석증 자가진단 이석증 원인 증상 치료

728x90
반응형

오늘은 이석증 자가치료, 자가진단, 이석증 원인,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석증이란?

귀안에는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이 있습니다. 전정기관은 우리 신체의 위치, 회전, 기울기, 중력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몸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전정기관은 세반고리관과 타원주머니, 둥근 주머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음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내림프액이 서로 교통합니다.

각각엔 평형반이 있어서 칼슘으로 이루어진 결정들이 그림처럼 붙어 있는데, 이 결정들을 이석이라고 합니다. 제자리에 있어야 하는 이석들이 외부 충격 혹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세반고리관으로 유입되게 됩니다. 이때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내림프액 파동을 일으키고, 특정한 세반고리관의 센서를 자극하여 극심한 어지름증과 구토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석증 자가치료

이석증 원인

비타민D

이석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골다공증이 있거나 비타민D가 부족하면 더욱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은 비타민D와 연관이 깊어 야외활동이 적은 겨울철에 특히 많이 발생합니다.

고령

이석은 나이가 들면서 작고 약해지므로 고령에게 많이 나타나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질환

두부외상, 내이질환이 있는 경우 이차적으로 이석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석증 증상 이석증 증상 어지럼증 이석이 세반고리관 안에서 움직일 때, 어지럼증이 나타납니다. 주로 고개를 돌리거나, 누웠다 일어날 때, 고개를 숙일 경우에 나타나며, 일분 미만으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구토

고개를 가만히 있으면 증상이 없지지만, 특정한 움직임에 어지럼증과 함께 구토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이 나타나면서 눈이 도는 느낌이 듭니다. 또 어지러울 때 눈을 살펴보면 안구가 빠르게 움직이는 안구 진탕이 관찰됩니다.

재발

이석증을 경험하신 분들은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석증 자가 진단

▽ 어지러울 때 눈 떨림이 나타납니다.

▽ 누워서 고개를 돌리면 어지럽습니다.

▽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날 때 갑자기 어지럽습니다.

▽ 고개를 순간적으로 들 때 어지럼증이 발생합니다.

▽ 어지럼증과 구토감, 가슴 두근거림이 함께 동반합니다.

▽ 머리를 가만히 있으면 증상이 없어집니다.

위의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이석증 자가진단

이석증 치료

물리치료

대부분의 경우에는 간단한 물리치료로 이석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석 치료는 반고리관에 들어가 있는 이석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치료입니다.

약물 치료

어지럼증이 심한 경우 일시적인 증상 완화를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

이석이 반고리관의 신경 수용체에 부착되어 어지럼증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치료 기간이 길어지거나 호전이 없는 경우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 자가 치료

이석증 자기치료법으로는 이석습관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만히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한 쪽으로 돌리고 천장을 보면서 한쪽으로 누워줍니다.

▽ 누운 상태에서 천장을 보면서 1분 정도 있다가 다시 일어납니다.

▽ 다시 가만히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반대편을 보고 다시 천장을 보면서 눕습니다.

▽ 누운 상태에서 천장을 보면서 다시 1분 정도 있다가 일어난 후 가만히 앉은 자세에서 1분간 유지하여 줍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수차례 반복하여 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