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메니에르병 원인, 증상, 치료, 이석증 메니에르병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니에르병이란?
메니에르병은 1861년 프랑스의 의사인 메니에르가 발견하여 지어진 이름입니다.
메니에르병이란 어지럼증, 청력 감소, 귀울림,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뜻 합니다. 병의 정도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며, 달팽이관, 반고리관, 전정을 지칭하는 속귀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합니다.
메니에르병, 이석증 차이
일반적으로 이석증은 어지럼증의 지속시간이 1분 미만으로 짧으면서 이명, 난청 등의 다른 귀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 입니다. 메니에르병은 어지럼증 외에 난청, 이명 등의 증상이 함께 발현되며 증상도 20~30분 동안 길게 나타납니다.
메니에르병 원인
내림프액 흡수 장애
메니에르병은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로
내림프액의 흡수 장애로 내림프 수종이 생기는 즉,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져서 내림프관이 부어올라 속귀 기능의
문제를 일으켜 메니에르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림프 수종은 연령의 많아질 수록 높아집니다.
과로 및 스트레스
메니에르병은 과로와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기도 하며, 특히 여성들이 월경 주기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신 대사 장애, 갑상선 기능 저하증, 체내에 나트륨이 축적된 경우 메니에르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니에르병 증상
반복적인 어지러움
메니에르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반복적인 어지러움이 있습니다. 심한 어지러움과 함께 속이 메스껍거나, 구토,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어지름증은 특별한 조짐 없이 발생하며, 하루 종일 지속될 수 도 있고 금방 없어지기도 합니다.
또 한달에 한 번정도 나타날 때도 있고, 주기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청력 감소
귀가 울리거나, 귀속의 먹먹함을 느낄 수 있고, 청력이 감소하는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청력 감소의 경우에는 처음에는 낮은 음에 대한 청력이 감소하며 점점 고음역의 청력 저하로 이어집니다.
메니에르병 치료
자연치유
메니에르병의 초기 발병 환자의 80%는 자연치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약물치료
만성적인 메니에르병이라면 베타히스티딘 약물을 복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뇨제로 치아짓 계열,
아세타졸아마이드 요소 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급성 현기증 발작시 치료
메니에르병 환자의 급성 현기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전정 억제제와 오심 및 구토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항히스타민제인 디멘히드리네이트, 메클리진, 디펜히드라민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약물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내림프낭 감압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쏘몰이뮨 효과 부작용 효능, 오쏘몰이뮨 가격 먹는법 성분 (0) | 2023.10.07 |
---|---|
배에 가스 찼을 때, 배에 가스 빼는 방법, 배에 가스 찼을 때 이유 원인 증상 (1) | 2023.10.07 |
한포진 원인 증상 치료 한포진 (0) | 2023.10.06 |
빈혈 원인과 증상 빈혈에 좋은 음식 빈혈 정상 수치 (0) | 2023.10.05 |
감 효능과 부작용, 감 칼로리는?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