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갑상선이란 갑상선 검사 갑상선암 자가진단

728x90
반응형

오늘은 갑상선 검사, 갑상선암 자가진단, 갑상선이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상선이란?

갑상선이란 신체의 목 앞부분에 위치하는 내분비기관입니다. 목의 한가운데 앞으로 튀어 나온 물렁뼈 바로 아래쪽에서 기관의 주위를 나비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폭이 2cm, 높이는 5cm 정도입니다.

갑상선은 뇌하수체 갑상선자극호르몬에 의해서 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합니다.

갑상선에서 만들어지는 갑상선 호르몬은 체내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갑상선기능항진증, 부족하게 되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갑상선 검사

갑상선 검사

갑상선염, 갑상선암,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성기능항진증 등의 갑상선은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 검사

갑상선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혈액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혈액 내에 갑상선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며, 이로 인해 갑상선의 호르몬 분비 기능이 정상적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방사성요오드 스캔 검사

혈액검사화 함께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핵의학검사가 있습니다. 갑상선은 정상적으로 요오드 및 방사성동위원소를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방사성요오드나 기타 동위원소를 투여한 후 특수 카메라를 이용하여 갑상선에 대한 영상을 얻거나 요오드 섭취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갑상선 자체의 크기, 모양, 갑상선 내의 종양 존재 여부 및 갑상선 기능의 증가 및 감소 여부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항갑상선항체 및 갑상선글로불린 검사

혈액검사로 항갑상선자가항체와 갑상선글로불린 농도를 측정하여 갑상선암으로 갑상선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고 난 뒤에 추적 관찰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검사입니다.

갑상선암 자가진단

갑상선암 자가진단

갑상선암 자가진단 갑상선암 자가진단은 정확한 진단이 아니므로 의심된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 ​목 젖 아랫부분을 손으로 만져보며 침을 삼켜 혹이 만져지는지 확인합니다.

▽ 목소리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변화를 일으킵니다.

▽ 침을 삼킬 때 목젖이 움직이게 됩니다.

목젖이 위로 올라갈 때 이물감이 느껴집니다.

▽ 숨을 쉬거나 음식을 삼키기 어렵습니다.

또 사례가 자주 걸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