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족저근막염 원인 증상 치료, 족저근막염 스트레칭

728x90
반응형

오늘은 족저근막염 원인, 증상, 치료,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 이란 발바닥의 근육을 감싸고 있는 섬유조직으로 구성된 두꺼운 막을 뜻합니다. 발꿈치뼈 안쪽에서 시작되어

발가락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족저근막은 발바닥의 아치를 형성하고 걸을 때 발이 튼튼하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족저근막염이란 족저근막에 미세한 손상 혹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꿈치와 발바닥의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 원인

무리한 발 사용

족저근막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발을 무리하게 사용했을 때 나타납니다. 족저근막염은 일반적인 염증과 달리

반복적으로 미세한 상처를 입거나, 무리하게 사용 시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무리하기 달리기를 하거나, 딱딱한 신발을

오래 시는 경우 등근막에 높은 긴장감이 반복되어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발

특히나 평발이신 분들은 족저근막에 과도한 긴장을 하게 되어 족저근막염의 발생 확률을 높입니다.

기타 원인

체중이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부적절한 신발을 장시간 사용하여 발뒤꿈치와 족저근막에 무리를 주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 노화나 기타 이유로 발뒤꿈치 지방층의 패드가 위축되거나 노화 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발꿈치 통증

족저근막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발꿈치 안쪽 통증을 유발합니다. 보통 자고 일어난 아침이나 앉았다가 일어설 때, 걸을 때

심하게 나타납니다. 증상이 반복되면 뒤꿈치 안쪽에서 부터 발바닥 전체로 통증이 퍼질 수 있어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염증

발뒤꿈치의 통증으로 엑스레이를 찍어도 염증은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음파 검사로 근막의 파열이나

염증의 동반을 확인해야 합니다.

 

족저근막염 치료

활동 시간 줄임

족저근막염은 염증성 질환으로 발을 많이 사용할 경우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운동 시간, 걷는 시간, 활동 시간을 줄여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약물 치료

통증이 심하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서 증상을 완화시키며 치료할 수 있습니다.

체외 충격파

체외 충격파 치료로 족저근막에 혈관 생성을 유도하고 말단부 신경 자극을 통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족저근막염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장기간 족저근막염 증상이 꾸준하게 나타난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늘려주는 수술 치료를 시행합니다. 다만 부작용과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어 전문의의 상담이 꼭 필요합니다.

보조용품 사용

발꿈치에 가해지는 압력과 족저근막에 받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해 깔창, 전용 신발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 스트레칭

족저근막염 스트레칭

족저근막 스트레칭

발목 관절을 최대한 발등 쪽으로 굽혀줍니다. 한 손이나 밴드를 이용하여 엄지발가락을 최대한 발등 쪽으로 굽혀주고,

다른 한 손으로 뒤꿈치 부위의 긴장된 족저근막을 늘려주듯 마사지해주면 족저근막염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한 번 하실 때 10초 이상 10회씩, 하루 3번 정도 매일 해주시면 좋습니다.

또 골프공이나 단단한 음료수 캔으로 발 뒤꿈치 내측에 대고 발을 굴려 스트레칭을 해줘도 도움이 됩니다.

아킬레스건 스트레칭

벽을 향하여 똑바로 선 채, 눈높이에 양손을 벽에 대 줍니다. 아픈 발을 뒤로, 아프지 않은 발을 앞으로 위치하여 주고 아픈 발뒤꿈치를 바닥에 댄 후 몸을 벽 쪽으로 숙이면서 종아리와 아킬레스건을 스트레칭하여 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