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일반의 전문의 차이점 병원 의원 차이점 전문의 전공의 차이점

728x90
반응형

오늘은 일반의 전문의 차이점, 병원 의원 차이점, 전문의 전공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의 전문의 차이점

일반의

전문의가 아닌 의사를 모두 일반의라고 합니다.

의대를 졸업하여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하면 의사 면허증이 발급됩니다.

이를 일반의라고 부릅니다.

전문의

일반의를 거친 후에 인턴 1년, 레지던트 4년의 과정을 차례로 거친 후에 내과 외과 등 지료과목별 시험에서 합격한 의사를 전문의라고 부릅니다.

일반의 전문의 차이점

전문의가 되려면 일반의가 된 후에 전문적인 수련과 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전문의가 더 높은 등급이라 할 수 있겠네요!

일반의 전문의 차이점

전문의 전공의 차이점

전공의

전공의는 수련기관 혹은 수련병원에서 전문의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하여 수련을 받는 인턴 및 레지던트를 전공의라 부릅니다.

인턴과 레진던트도 수련과 동시에 환자를 진료하기도 하므로 전공의 또는 수련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전문의

전공의 차이점 일반의가 된 후 전문의가 되기 위해 수련하는 과정의 의사를 전공의라고 합니다.

일반의 < 전공의 < 전문의

로 쉽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병원 의원 차이점

병원 의원 차이점

위에서 언급한 일반인 전문의 차이점을 알고 계시니 병원 의원 차이점은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전문의가 병원을 개업할 경우

~내과 의원 혹은 ~ 피부과 의원 처럼 진료과목을 의원 앞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의가 병원을 개업할 경우

전문의와 다르게 일반의는 진료과목 뒤에 의원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원 내과 , ~의원 피부과 처럼 의원 뒤에 진료과목을 사용해야 합니다.

병원 의원 차이점

병원과 의원은 병상의 수를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쉽게 말해 규모가 되겠네요!

병원은 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 수가 30개 이상이면 병원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의원은 병상 수가 30개 이하 일 때 의원으로 구분 합니다.

또 종합 병원의 경우에는 병상 수가 100개 이상, 필수 진료과목 7개 이상을 갖춰야 종합 병원이라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진료과목마다 전문의가 있어야 합니다.

또 병상의 수가 300개가 초과할 경우에는 9개 이상의 진료과목, 그 이상일 때에는 20개 이상의 진료과목이 있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일반적인 진료를 볼 때에는 의원에서 검진을 받아도 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심각하다면 전문의가 많은 상위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 이름으로 전문의가 운영하는 곳인지 일반의가 운영하는 곳인지 확인 할 수 있으니 조금더 신뢰가 가는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겠네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