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변비 원인 증상 변비에 좋은 음식 해결법

728x90
반응형

오늘은 변비 원인, 증상, 변비에 좋은 음식, 해결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변비란?

변비란 정상적으로 배변활동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뜻합니다.

배변시에 무리한 힘이 필요하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게 굳어 있는경우, 일주일에 배변횟수가 3회 미만인 경우 , 배변후 항문이 막혀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 보통 인구의 5~20% 정도가 변비를 가지고 있는 흔한 증상입니다.

변비 원인

변비 원인

서행성 변비

변비 중에 가장흔한 원인으로 장관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장이 괄약근을 수축해서 대변을 배출하는데 대변이 대장에서 오래 머물게 됨으로써 수분이 하나도 없는 딱딱한 대변으로 남아있습니다.

딱딱한 대변은 장관 기능 저하로 인해 잘 나오지 않게됩니다.

이러한 이유는 환경적요인 , 배변 습관의 변화 , 운동량 저하 , 불규칙한 식습관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잘못된 배변습관

특히 요즘에는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보는 분들이 많아 변기에 오래 머무르는 습관이 있습니다.

여성 분만

손상 직장 점막이 손상되면서 수축이 불가능해져 골반저의 기능저하로 인해 배출 장애형 변비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노인성 변비

노인의 경우 소화력이 약해져 음식물 섭취가 적고 요실금 등과 같은 질환으로 물섭취를 적게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노화로 인한 장의 수축과 이완 기능이 저하되어 변비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고도 합니다.

변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교감 신경을 자극하고 이로 인해 위장관 활동저하로 인해 변비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변비 증상

변을 보는 주기

보통 변은 하루에 한 번정도 봐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하루~이틀 사이에 한 번이 가장 적당합니다.

하지만 변비환자는 보통 일주일에 3회미만 이거나 3일에 1회 미만으로 변을 볼시 변비라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화장실 시간

화장실에 너무 오래 앉아있거나, 아무리 힘을주어도 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많이 나타냅니다.

변의 강도

변비환자의 대부분은 변봤을때 딱딱하거나 변을 보는 도중에 변이 딱딱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변이 너무 장에 머물러 있다보니 대장에서 수분을 흡수한 변은 딱딱한 형태로 변하게 됩니다.

잔변감

변을 다 보았는데도 잔변감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변비 좋은음식

변비 해결법

식이섬유 , 물 섭취

물을 많이 마시면 변비에 좋습니다.

하지만 물만 많이 마신다고 변비가 개선되지는 않습니다.

다 소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물을 붙잡아 줄수 있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의 섭취와 함께 물을 많이 마셔주어야 합니다.

식이섬유는 흡착능력이 뛰어나 물을 많이 흡수한 체로 장까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적절한 지방 섭취

항문주위에는 기름샘이 있습니다.

이것은 변을 볼때 잘 볼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지방섭취는 변비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운동과 식습관

꾸준한 운동과 적절한 식습관으로 장관기능을 끌어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비에 좋은음식

변비를 개선하기 위한 식이섬유 섭취는 물에 잘녹는 수용성 식이섬유를 섭취하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

당근 , 고구마 , 양파 ​

또 인도의 슈퍼푸드라고 불리는 구아콩이 있습니다.

하지만 구아콩은 한국에서 직접 섭취하기는 어려워 구아검 가수분해물로 섭취가 가능합니다.

구아검 가수분해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장내 유익균 증식에 도움을 주는 프리바이오틱스로서의 역할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