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하임리히법 순서 성인 유아 하임리히법 영유아 아기

728x90
반응형

오늘은 성인, 유아, 하임리히법 순서, 하임리히법 영유아, 아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임리히법이란?

하임리히법은 기도폐쇄처치법이라고도 불리며, 이물질 혹은 음식 등이 목에 걸려 기도가 막혀, 질식할 위험이 있을 경우에 흉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목에 걸린 이물질, 음식을 뱉어내게 하는 방법입니다. 기도가 완전히 막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환자가 스스로 기침을 해서 뱉어낼 수 있지만, 기도가 완전히 막힐 경우에는 말도 할 수 없고, 기침을 하지 못하여 목을 감싸 쥐는 모습을 보입니다. 결국 호흡을 하지 못하여 저산소증으로 무의식이 진행되고 후에 심정지에 빠지게 되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식사, 간식, 장난감 등이 기도로 들어가 당장 호흡이 불가능하게 되면 호흡곤란으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응급처지법입니다.

하임리히법은 1974년에 흉부외과 의사인 헨리 하임리히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방법입니다.

하임리히법 순서 유아 하임리히법 하임리히법 순서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폐쇄되어 질식 상태에 빠졌을 때 기도에 이물질이 있을 때 하는 응급처치 방법으로 하임리히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아 하임리히법

유아 하임리히법

▽ 119에 신고 요청​을 한 뒤에 유아의 머리를 아래 방향으로 향한 후에 환자를 자신의 팔 위에 올려놓고 고정시켜줍니다.

▽ 영아의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하고 영아를 안은 팔을 허벅지에 고정시켜준 뒤 손바닥으로 어깻죽지 사이(등)을 5회 두드려줍니다.

▽ 그 후에 영아를 뒤집어서 등을 받쳐 준 뒤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들어주고, 영아를 안은 팔을 무릎 위에 놓고, 영아의 가슴 사이에 검지와 중지를 흉골에 올려놓고 가슴압박을 5회 실시하여 줍니다. 이때 압박 시 손가락은 가슴에서 떼지 않습니다.

▽ 영아의 구강 내 이물질을 확인하여 제거합니다. 손에 닿지 않으면 억지로 손을 넣지 않습니다. 위의 방법들을 이물이 배출되거나, 기침을 하거나, 힘차게 숨을 쉬거나, 119가 올 때까지 반복하여 해줍니다.

성인 하임리히법

성인 하임리히법

성인의 경우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침을 유도합니다. 말을 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에는 119에 신고한 뒤에 하임리히법을 실시합니다.

▽ 환자의 등 뒤에서 양팔로 허리를 감쌉니다.

▽ 구조자는 오른손으로 왼 주먹을 감싸 잡고 명치에 대주고 후상 방향으로 강하게 밀어 올립니다.

임산부, 비만 환자는 상복부가 아닌 흉부를 압박하여 줍니다.

728x90
반응형